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학에서 사람들의 지출 패턴을 파악해 그 사람의 경제수준을 가늠하는 여러가지 지표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엥겔지수가 있지만, 오늘 알아볼 경제용어인 슈바베지수의 지표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가계의 소득수준과 주거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는 슈바베법칙과 슈바베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자취중인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이라면 한달 예산에서 주거비가 차지하고 잇는 비중이 상당하게 클 것입니다.
특히나 집값이 비싼 대한민국 중심지인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면 주거비중이 더 커지는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죠.
그렇다면 돈을 엄청나게 많이 버는 유명인들은 어떨까요?
이들은 주거비로 큰 돈을 지출하겠지만, 그렇다고 일반사람들이 이들을 걱정하거나 하진 않습니다.
이들이 주거비로 지출하는 돈은 이들이 버는 전체 소득에 비하면 얼마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죠.
위의 사례처럼 우리가 이미 경험적으로 체감하고 있는 사실을 실제로 분석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바로 독일의 경제학자인 하인리히 슈바베입니다.
슈바베는 1868년 베를린시의 가게조사를 통해서 '가계소득과 주거비 지출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발표를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슈바베법칙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법칙의 내용은 매우 간단합니다. 소득이 증가할수록 지출하는 금액도 증가하지만, 전체 소비지출액 대비 주거비 비중은 감소하는 것이죠. 반대로 소득이 감소할수록 주거비 지출액도 감소하지만, 전체 지출액 대비 주거비 비중은 늘어납니다. 그리고 이 법칙에 사용되는 정량적인 지표가 바로 슈바베 지수입니다.
슈바베법칙과 슈바베지수
의미 : 소득이 증가할수록 주거비로 지출되는 절대적인 금액은 커지지만, 전체 지출액 대비 주거비 비중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는 경험적 법칙
슈바베지수(Schwabe Index)
가계소비지출 대비 주거지출이 차지하는 비용
- 가계소비지출 = 총 소비지출 - 비소비지출(세금, 공적연금, 사회보험료 등)
- 주거지출비 = 집세 + 주거관리비 = 금융비용(대출상환금) + 가구집기, 가사용품비
슈바베 지수는 가계소비지출에서 주거지출비가 어느정도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나타내고 있는 지표입니다.
선진국에서도 이 지수를 빈곤의 척도로 사용하는데, 슈바베지수가 25%를 넘으면 빈곤층에 속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가계소비지출이란 가구의 총 소비지출에서 비소비지출을 차감한 금액을 나타내는데요, 비소비지출에는 세금, 공적연금, 사회보험, 비영리단체로 이전, 가구간 이전 등의 금액이 포함됩니다.
주거지출에는 단순히 집세뿐만 아니라 관리비(수도, 전기, 가스, 냉난방비 등)와 각종 금융비용(주택 대출 상환금 등)도 포함됩니다.
공식이 간단하기 때문에, 본인의 지출비용만 알면 슈바베지수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슈바베지수 vs 엥겔지수
앞서 서론에서 엥겔지수를 언급해드렸는데요, 엥겔지수 역시 슈바베지수와 함께 가계의 경제수준을 가늠하고 있는 대표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엥겔지수와 슈바베지수는 어떤차이가 있을까요?
슈바베지수가 가계의 소비지출 대비 주거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라면, 엥겔지수는 가계의 소비지출 대비 식료품비 지출의 비율을 나타낸 값입니다.
두 지표 모두 고소득층일수록 값이 낮아지며, 저소득층일수록 값이 높아진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두 지표 모두 19세기 만들어진 지표이므로, 현대사회에 적용하기엔 몇가지 한계점들이 존재합니다.
슈바베지수의 경우 임차보증금의 기회비용이 반환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2억짜리 전세집에 들어가있는 사람은 사실 이 2억원을 은행에 저축만 해둬도 연간 400만원의 이자(연이율 2%라고 가정)를 받을 수 있었을겁니다. 그런데 2억원이 전세금으로 묶여있기 때문에 400만원의 이자를 못받는 것이죠.
슈바베지수는 이런 보증금에 대한 기회비용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엥겔지수 역시 식료품비 자급자족하는 농경사회 및 외식을 많이 지출하는 가구에는 적합하지 않는다는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런 한계점을 보안하여 외식비를 포함하는 엥겔지수를 따로 산출 및 발표하고 있다고 합니다.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상증자 무상증자 이해하기 (1) | 2023.11.14 |
---|---|
히트플레이션 (Heatflation) (0) | 2023.11.13 |
대차대조표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11.08 |
웨이지인플레이션 (Wageinflation) (0) | 2023.11.06 |
매파와 비둘기파 뜻 알아보기 (0)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