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

앞으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ESG

해외선물 전문 정실장 2024. 6. 10. 16:41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실장입니다.

오늘하루도 즐거운시간되시고 늘 성공하는 투자를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은 경제상식에서 우리가 앞으로 주목해야 할 ESG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대선이 끝난 후 바이든 시대가 열리면서 그가 주장해왔던 신재생 에너지 중심의 친환경적 인프라 투자 확대 또한 현재 주식시장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종목들 중 하나입니다. 이와 더불어서 요즘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는 이슈가 바로 ESG인데요, 현재 ESG 투자규모는 매년마다 엄청난 규모로 성장되고 있으며 관련 상품들이 마구 쏟아지고 있습니다. 수익률 또한 쭉쭉 올라가고 있어 전세계적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미 글로벌자산운용사와 국부펀드 등이 ESG를 핵심 투자 지침으로 삼게 되면서 관련된 규모가 급격하게 커지고 있습니다. 도대체 ESG라는 것은 무엇이고 왜 주목을 받고 있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SG란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 - Environment, 사회 - Social, 지배구조 - Governance 를 뜻합니다.

즉 투자의 의사결정시 '사회책임투자' 혹은 '지속가능투자'의 관점에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까지 투자결정요소로 고려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왜 ESG가 뜨게 되었을까?

그 배경에는 '지속 가능한 개발'이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생산과 소비를 유지하는 지구 자연계의 능력에는 한계가 있음으로 현재의 성장과 개발중심 경제정책이 지속적으로 발전한다면 향후 미래에서 대재앙을 불러올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예상하기 때문이며, 이는 1987년 UNEP(유엔환경계획)와 WCED(세계환경개발위원회)가 공동으로 채택한 '우리공동의 미래(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제시되고 있습니다.

사실 이러한 문제는 1970년대부터 전문가들에 의해서 꾸준하게 제기 되어왔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지속기능경영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고, 영국 작가이자 언론인인 존 엘킹턴에 의해 지속기능경영의 3대 기본축인 TBL(Triple Bootom Line)로 경제, 사회 그리고 환경이 제시 되었으며 이는 지금 ESG의 핵심개발 개념이 됩니다. 그리고 2006년 현재의 ESG 출밤점이 되는 UN PRI(유엔책임투자원)이 결성되었고, 드디어 작년부터 2020년 책임투자원칙을 본격화시키기로 한 것이죠. 더불어 친환경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민주당 바이든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서 ESG가 더욱 더 주목을 받게 된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실제 기업들 중 이러한 ESG 투자로 좋은 영향을 받은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에는 어떤기업들이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테슬라라는 전기차업체가 있습니다. 테슬라 전기차업체는 전기 자동차 뿐만아니라 태양광 패널, 가정·산업용 배터리 사업도 영위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사업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또 어떤기업에는 탄소 네거티브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단순히 탄소저감을 위한 투자를 넘어 이미 발생한 탄소를 제거하는 기술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ESG의 적극적인 기업들은 친환경 정책을 펼치는 '바이든 시대'에 투자자들에게 더욱 더 주목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반면, ESG에 반대되는 기업들도 있는데 전통적 석유 기업들이 이에 해당됩니다.

영국의 B사 국영 석유회사나 네덜란드의 R사와 같은 석유회사들은 이러한 글로벌 흐름에 부합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는데요. B사는 기업 정체성 자체를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하였으며 앞으로 10년 동안 석유, 석턴, 가스 생산을 현재의 60% 규모로 축소하겠다고 발표하엿습니다. R사 또한 저탄소 시대에 맞는 계획을 수립하여 지난해 프랑스 풍력발전기업을 인수하면서 그린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연간 20억달러에서 30억달러로 확대하기로 결정하였다고 합니다.

사실 개인이 ESG 관련요소를 분석하기 힘들 수 있는데 이런 ESG에 부합하는 금융상품이 따로 있을까요?

대표적인 ESG ETF 상품이 따로 있습니다. 해당 상품은 ESGU, DSI, SUSA 등 MSCI ESG지수를 추종하는데요

그 중에서 특정 ETF 수익률 또한 우수합니다. 2020년 12월 기준으로 1년 수익률이 30%나 가까이 되고 있습니다. ESG에 적극적이면서도 수익률 도한 우수하며 미 정부의 정책에도 부합되니 그야말로 금상첨화인 셈입니다. 아래 표를 보면 TOP 10 섹터를 보실 수 있는데요. 주요 기술주나 소비재 등 기존 주가지수 ETF와 구성이 크게 다르지 않지만 ESG 지수를 통해 한번 더 수정된 업그레이드 된 버전인 것입니다.

또다른 ESG 대표 EST사아품의 펀드의 TOP10 종목을 보게 되면 사실상 기술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아래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요. 앞으로 세계적인 기업일수록 ESG 트렌드에 적극적이고 이로써 투자자들에게 기업 매출이나 영업이 같은 재무적인 것 뿐만이 아니라 비재무적인 부분에서도 더욱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