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경제뉴스

트럼프, 주한미군 규모 또 잘못 언급…"한국, 돈 낼 수 있다"

해외선물 전문 정실장 2024. 5. 14. 10:24

 

미국 공화당 대통령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주한미군 규모를 또다시 잘못 언급하면서 한국이 주한미군 방위비를 거의 부담하지 않고 있었는데 자신이 이를 바꾸었다고 거듭 주장했다.

13일(현지시간) RSBN에 게재된 동영상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1일 뉴저지주 와일드우드에서 진행한 유세 당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등 동맹들의 방위비 문제를 거론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특히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문제와 관련해 "한국, 우리는 그들의 군대를 위해 돈을 지불하고 있다"며 "우리는 4만2000명의 군인이 있지만, 그들은 우리에게 거의 돈을 지불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저는 그것을 바꿨다"면서 "그러나 지금 내가 알기로 바이든은 그것(방위비 협상)을 깨길 원한다"고 했다.

이어 "그(조 바이든 대통령)는 내가 너무 거칠었고, 그들이 너무 많이 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들(한국)은 큰돈을 벌었다"면서 "그들은 우리의 조선 산업을 가져갔고, 컴퓨터 산업도 가져갔으며, 많은 다른 산업도 가져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많은 돈을 벌었고, 그들은 그들의 군을 위해 돈을 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현재 평균 2만8500명 수준인 주한미군 규모를 잘못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는 지난달 30일 공개된 타임지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군대를 철수할 것이냐'는 질문에 주한미군 숫자를 4만명으로 언급하면서 "나는 한국이 우리를 제대로 대우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인터뷰에서도 자신의 재임 기간 중엔 한국이 주한미군 주둔 대가로 수십억달러를 냈는데 바이든 행정부가 이를 재협상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해 3월에도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주한미군 숫자를 3만5000명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한미 양국은 1991년부터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을 정기적으로 체결, 주한미군 주둔비용과 관련해 한국이 부담해야 할 비용을 정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중이었던 지난 2019년 11차 SMA 협상 당시 약 9602억원이었던 기존 분담금의 5배에 달하는 50억 달러를 한국이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주한미군 철수까지 연계해 한국을 압박했고, 이로 인해 2020년 3월에 타결됐어야 할 협상은 장기 표류했다.

결국 11차 SMA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인 2021년 3월에서야 타결됐다.

현재 한미 양국은 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2026년부터 적용할 12차 SMA를 체결하기 위한 협상에 들어간 상태다.

 

 

김현 특파원 (gayunlov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