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지표

RSI (상대강도지수)에 대해 알아보기

해외선물 전문 정실장 2023. 7. 19. 15:26

 

안녕하세요 

오늘은 RS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대강도지수 RSI(Relative Strength Index) 란 무엇인가?

 

RSI는 가격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1978년 미국의 윌레스 와일더(J.Welles Wilder Jr.)가 개발했습니다.

 

이는 RSI는 주식과 선물·옵션 등의 미래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기술적분석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해

 

상승한 변화량이 크면과매수 상태로,

 

하락한 변화량이 크면 과대도 상태로 판단합니다.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정기간 (주로 14일, 9일, 25일 등도 사용)의 모든 날의

 

주가에 대해 가격이 전일 대비

 

상승한 날의 상승 분은 U(UP) 값으로,

 

가격이 하락한 날의 하락분은 D(Down) 값이라고 합니다.

 

U값과 D값의 평균값을 구해

 

각각 AU(Average Ups), AD(Average Downs)라고 합니다.

RSI 값은 일정 기간 동안 전일 대비

'상승분의 평균값/상승분의 평균값 + 하락분의 평균값'입니다.

AU를 AD 값으로 나눈 것이 RS(Relative Strength) 값이며,

 

RS 값이 크다는 것은 일정 기간 하락한 폭보다

 

상승한 폭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SI 값은 'RS/(1+RS)'공식으로 구하며 'AU/(AU + AD)'로 해도 결과는 동일합니다.

 

 

RSI값은 1~100사이의 값을 갖습니다. 

 

일반적으로 70을 넘어가면 (과열)매도 타이밍,

 

30밑으로 떨어지면 (침체)매수 타이밍으로 규정합니다.

 

다만 호재에 의해 강한 상승을 하는 중이라면

 

RSI 값이 70이상이어도 계속 상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RSI는 천장과 바닥을 찾기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천장과 바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시장에서는 쓸모가 없습니다.

 

가격이 소폭의 등락으로 횡보하면

 

RSI는 50에서 소폭의 등락만을 반복하기 때문이죠.

 

또한 RSI는 보조, 후행지표로써 실제 투자에 활용할 때는

 

기업의 펜더멘털, 시장 상황을 함께 고려하면서

 

참고용으로 보조지표는 참고만 할 지표라 '보조' 인것을 잊지 마시고 사용하시길 추천합니다.

 

'기술적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기  (0) 2023.07.21
엘리어트 파동에 대해 알아보기  (0) 2023.07.20
피보나치(Fibonacci) 수열  (0) 2023.07.18
헤드 앤 숄더  (0) 2023.07.17
엘리어트 파동 이론  (0) 202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