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 107

옵션(Option)거래의 기본 개념과 용어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옵션(Option)거래의 기본 개념과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옵션거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옵션의 개념과 용어들을 알아야 합니다. 다음은 옵션거래의 기본 용어입니다. 옵션(Option)이란? 옵션은 주식, 지수, 화폐 등의 기초자산에 대해 특정 가격으로 매수 또는 매도할 권리를 제공하는 파생상품입니다. 옵션은 투자자에게는 의무가 없는 선택권을 주므로 투자자는 이러한 권리를 행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콜 옵션(Call Option) 콜 옵션은 기초자산을 특정 가격(행사 가격)으로 매수할 권리를 제공합니다. 주식 시장에서 상승을 예상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풋 옵션(Put Option) 풋 옵션은 기초자산을 특정 가격(행사 가격)으로 매도할 ..

경제상식 2023.06.13

금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금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준금리 (Policy Rate) 중앙은행이 정책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금리입니다. 기준금리는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인플레이션과 경기를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기준금리로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를 사용합니다. 예금금리 (Deposit Rate) 은행이 예금을 받을 때 제공하는 이자율입니다. 예금금리는 은행의 예금 상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저축 예금, 적금 등에 적용됩니다. 대출금리 (Lending Rate) 은행이 대출을 제공할 때 적용하는 이자율입니다. 대출금리는 대출 상품 및 대출 신청자의 신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이자..

경제상식 2023.06.12

RORO INDEX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RORO INDE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ORO INDEX란? RORO INDEX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리스크 온(Risk-On)과 리스크 오프(Risk-Off) 상태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 지수는 다양한 기초자산(주식, 채권, 원자재 등)의 수익률 또는 가격 동향을 분석하여 시장 참여자들의 리스크 선호도 변화를 추적합니다. RORO INDEX는 일반적으로 주식, 채권, 원자재, 외환 등 다양한 기초자산을 대상으로 계산되며 이러한 기초자산들은 경기 변동성, 리스크 요인, 투자 심리 등에 따라 리스크 온과 리스크 오프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주로 사용되는 RORO INDEX 중 하나는 MSCI World RORO Index입니다. 이 지수는 MSCI World 지수의..

경제상식 2023.06.08

캡티브 마켓(Captive Market)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캡티브 마켓(Captive Marke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캡티브 마켓(Captive Market)이란? 캡티브 마켓은 특정 기업이나 제품이 독점적으로 공급되거나 소비되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쟁 업체의 진입이 제한되거나 고객이 다른 선택지를 가지지 못하는 상황에서 형성되며 기업은 이러한 독점적인 시장에서 고객들에게 제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캡티브 마켓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직적 캡티브 마켓 기업이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제어하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 제조업체가 자체적으로 전화기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동시에 통신 서비스도 제공하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고객..

경제상식 2023.06.06

넥스트11(Next-11)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넥스트11(Next-11)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넥스트11(Next-11)은 고도로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그러나 경제적으로 큰 잠재력을 가진 11개의 국가를 가리키는 용어로 BRICS(Brazil, Russia, India, China, South Africa) 국가들을 포함하지 않는 신흥 시장국입니다. 이 용어는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가 글로벌 투자은행이 2005년에 처음 소개했으며 넥스트11에 포함된 국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 (South Korea) 방글라데시 (Bangladesh) 에티오피아 (Ethiopia) 인도네시아 (Indonesia) 나이지리아 (Nigeria) 멕시코 (Mexico) 이란 (Iran) 터키 (Turkey) 베트남 (V..

경제상식 2023.06.02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IRR)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IR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IRR)이란? 내부수익률은 투자 또는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재무 지표입니다. 내부수익률은 투자로부터 예상되는 현금 흐름에 대한 할인율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투자의 수익성을 평가하고 비교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다음은 내부수익률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정의 내부수익률은 투자나 프로젝트로부터 발생하는 현금 흐름에 대한 할인율을 결정하는 수익률로써 내부수익률은 현금 흐름이 투자 비용과 일치하는 지점에서의 할인율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내부수익률은 투자의 성공 여부와 수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계산 방법 내부수익률은 ..

경제상식 2023.05.30

EBITDA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BITDA란? EBITDA는 기업의 재무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 기업의 영업 활동에 관련된 수익과 비용을 고려하지만 이자 비용, 세금, 감가상각, 상각비를 고려하지 않는 지표입니다. 다음은 EBITDA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정의 EBITDA는 기업의 영업 활동으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에 대한 특정 비용 항목을 제외한 값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영업적인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로 이자, 세금, 감가상각, 상각비와 같은 비즈니스 활동과는 관련이 없는 비용을 배제하여 기업의 코어 비즈니스 운영 결과..

경제상식 2023.05.29

프라이머리 CBO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프라이머리 CB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라이머리 CBO란? 프라이머리 CBO는 주택담보채권(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을 발행하고 관리하는 주체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CBO는 다양한 주택담보채권을 기반으로 한 구조화 금융 상품으로 일반적으로 주택담보대출(Mortgage)에 기반한 현금 흐름을 패키징하여 투자 등급에 따라 다양한 채권층으로 분할하여 발행합니다. 프라이머리 CBO는 CBO 구조의 최상위 클래스를 의미합니다. CBO구조에서는 주택담보채권을 기반으로 한 여러 개의 계층적인 채권 클래스가 존재하며 이러한 클래스들은 원금 상실 위험에 따라 등급이 부여됩니다. 프라이머리 CBO는 이러한 구조에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등급의 채권 클래스..

경제상식 2023.05.26

수권자본제도(authorized capital(stock) system)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수권자본제도(authorized capital(stock) syste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권자본제도(authorized capital(stock) system)란? 수권자본제도는 기업의 소유와 지배권을 나타내는 제도로 기업의 지배력을 행사하는 주주들이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주주들은 주식을 통해 기업의 소유권을 가지며 이를 통해 기업의 경영 및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수권자본제도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의 권력 수권자본제도에서는 주주들이 기업의 경영과 의사결정에 대한 권한과 권력을 가집니다. 주주들은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주총회에서 경영진 선출, 중요 의사결정 승인, 이사회 구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경제상식 2023.05.25

매몰비용(Sunk Cost)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매몰비용(Sunk Cos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몰비용(Sunk Cost)이란? 매몰비용은 이미 발생한 비용이며 현재나 미래의 의사결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비용을 말합니다. 즉, 이미 지출된 자원이나 비용이 회수되지 않는다는 의미를 갖으며 경제학과 관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매몰비용의 특징과 관련된 중요한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래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음 매몰비용은 이미 과거에 소비된 비용이기 때문에 현재나 미래의 의사결정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미 지출된 비용은 회수되지 않으며 이를 고려하여 미래에 새로운 결정을 할 때는 과거 비용에 집착하지 않아야 합니다. 감정적 효과와 인지적 편향 매몰비용은 종종 감정적인 효과와 인지적인 편향을 유발할 ..

경제상식 2023.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