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 107

임비(Yimby) 뜻과 개념 알아두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임비(Yimby) 라는 경제용어의 대해서 뜻과 개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임비(Yimby)란 ? 임비는 Yes in my backyard의 약자로 되어있으며, 자신의 주택을 많이 짓는 것을 반기는 움직임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쉽게 말해 님비(Nimby - Not in my Backyard)의 반대말이기도 합니다. ​ 미국 집값, 팬데믹 기간 최소 8000조원 쑥... 중년 유주택자들만 웃었다. 미국 총 주택 자산 미국 세대별 자가 소유 주택의 총 주택 자산 최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따르면 미국 내 유주택자의 주택 자산 규모는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 4분기 19조5121억 달러에서 작년 4분기 26조3630억 달러로 뛰었습니다. 6조8508억달러(약 8670..

경제상식 2023.11.01

새로운 'FANG' 의미 알아보기

​ 안녕하세요 FANG이라는 단어는 원래 정보기술(IT) 대형주인 페이스북(메타),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을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그런데 올해 들어 기존 FANG 주식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데 가운데 유망 투자처로 원자재가 떠오르면서 새로운 FANG이 등장했습니다. 새로운 팡(FANG)은 연료(Fuel), 농업(Agriculture), 천연자원(Natural resources), 금(Gold)의 앞글자를 모은 단어입니다. ​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원유와 각종 천연자원, 곡물의 가격들이 급등을 하였고, 안전자산인 금값도 오르는 추세에 있습니다. ​ 또 선진국이 추진했던 태양력과 풍력 등 대체 에너지로의 전환이 예상보다 쉽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 와중에 기존 화석 에너지에 대한 투자는 ..

경제상식 2023.10.31

GDP와 GNP의 차이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제가 학생 때 GDP와 GNP를 처음 배웠을 당시 이 두 용어에 대해서 참 헷갈린 적이 많았습니다. 여러분은 이 차이를 정확히 알고 계시나요? 오늘은 GDP와 GN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각각의 용어를 알아보도록 할 텐데요. ​◆ GDP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 우리나라 국경 내에서 1년 동안 생산한 것을 모두 합한 금액을 말합니다. 즉,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금액도 GDP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GDP는 국적을 불문하고 우리나라 영토 내에서 총생산을 의미합니다. ​ ◆ GNP(Gross National Product, 국민총생산) ​ 한 나라의 국민이 1년 동안 생산한 것을 모두 합한 금액을 말합니다. 즉, 우리나라 국민이 외국..

경제상식 2023.10.27

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금리를 결정하는 주체인 FOMC에 대하여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Why? 미국의 금리를 결정하는 주체를 알아야 하는지 궁금증을 갖고 계신분들도 있으실겁니다. ​ FOMC는 기축통화인 달러의 통화량을 조절하는 유일한 기관이기에 FOMC는 그 어떤 기관들보다 힘이 쎈 세계최강의 경제기관이기 때문입니다. ​ 달러의 가치는 골드, 유로, 엔화 등과 많은 연관성이 있는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 이 말은 즉 해외선물에 있어서 FOMC의 결정에 따라 그날의 변동성을 예측해볼 수 있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 보편적인 상황에선 예측을 하고 대응한다면 수익의 확률점이 높겠지만 시장엔 항상 변수가 많으므로 "금리가 인하됐다"라는 정보만을 가지고 단편적으로 판단하시면 안됩니다. ​ 하지만 한 가..

경제상식 2023.10.25

국제유가 원유재고 API 와 EIA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 오늘은 해외선물에서 중요한 경제지표인 주간 원유재고 WTI를 비롯한 3대 유종의 가격 변동의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경제지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유재고 지표는 크게 API와 EIA의 발표치로 나뉘어 발표가 되는데요. 각 지표마다의 차이점이 있으며, 석유제품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원유 선물을 투자하는 분들이라면 꼭 잊지 마셔야 합니다. ​ 원유재고는 우리나라 시간DM로 수요일 새벽 5시 30분에 API원유재고가 있고, 흔히 우리가 원유재고라고 이야기하는 지표는 수요일밤 23시 30분에 에너지 정보국 (EIA: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에서 발표하는 원유재고를 말하는 것입니다. ​ API 원유재고 매주 수요일 5시 30분(현지..

경제상식 2023.10.24

리커창지수, 경기활동 대리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커창지수에 대해서 배워보실텐데요 현 중국의 리커창 총리가 2007년 중국의 경제 흐름을 판단하기 위해 제시한 3가지 지표에서 비롯된 경제지수를 말합니다. ​ 전력 소모량, 철도 운송량, 은행대출 증가율등이 커창총리가 제시한 3가지 지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들은 과장된 GDP지표가 발표될 때마다 끊임없이 논란을 겪었습니다. 리커창 중국 부총리는 중국 GDP가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당시 리 부총리가 랴오닝성 당서기로 재직을 하던 시절에 미국 대사와의 외교 만찬에서 "랴오닝성의 GDP수치는 신뢰할 수 없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리커창 부총리는 중국 경제 현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을 하기 위해 '전력소비량, 은행 신규대출, 철도 화물운송량 등..

경제상식 2023.10.23

테이퍼링(tapering)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테이퍼링(tapering)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테이퍼링(tapering) 테이퍼링은 중앙은행이 양적완화 정책에서 점진적으로 후퇴하는 과정을 가리키는 경제 용어입니다. 이 과정에서 중앙은행은 금융 시장에 주입된 자금 공급을 축소하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양적완화 조치를 축소합니다. 테이퍼링은 중앙은행이 경제의 형태를 조절하고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과정은 주식시장, 채권시장, 통화 시장, 및 글로벌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테이퍼링의 과정 테이퍼링은 중앙은행이 양적완화 정책에서 축소 단계로 들어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자산을 매입하거나 금리를 낮추는 등의 정책을 통해 시장에 자금을 공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테이퍼링은 이..

경제상식 2023.10.19

보링 컴퍼니 (Boring Company)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링 컴퍼니 (Boring Compan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링 컴퍼니 (Boring Company) 보링 컴퍼니는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설립한 미국의 기업으로, 도시 교통 혁신과 지하 터널 기술 개발을 목표로 2016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이 회사는 교통 혼잡 문제와 도로 인프라 개선을 위한 솔루션을 탐구하고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지하 터널을 이용한 대중 교통 및 하이퍼루프(Hyperloop)와 같은 혁신적인 교통 시스템을 연구하고 구축하고자 합니다. 역사 보링 컴퍼니는 2016년 말에 일론 머스크가 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처음으로 언급한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그 당시 그는 교통 혼잡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지하 터널링 기술을 언급하고 이를 구현하려는..

경제상식 2023.10.16

환율선물 (NDF)

안녕하세요 오늘은 환율선물 (ND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환율선물 (NDF) 환율선물(NDF, Non-Deliverable Forward)는 국제 금융 시장에서 환율 리스크를 관리하고 거래하는 도구 중 하나로, 특히 신흥 시장 통화에 노출되는 기업 및 투자자에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율선물(NDF)이란? 환율선물(NDF)은 현금 정산(Cash Settlement) 형태로 이루어지는 파생상품 중 하나입니다. NDF는 미래의 환율을 기반 자산으로 하는 계약으로, 환율의 차이를 통해 차익을 거래하는 도구입니다. 일반적으로 NDF는 미국 달러(USD) 및 신흥 시장 통화(예: 브라질 레알, 한국 원, 중국 위안 등) 간의 환율을 다룹니다. NDF의 주요 용도 환율 리스크 관리 NDF는 통화 리스크를 효과..

경제상식 2023.10.12

잭슨홀 미팅 (Jackson Hole Meeting)

안녕하세요 오늘은 잭슨홀 미팅 (Jackson Hole Meet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잭슨홀 미팅 (Jackson Hole Meeting) 잭슨홀 미팅은 미국 워이오밸리의 잭슨홀에서 매년 개최되는 중요한 경제 정책 및 재무 정책에 관한 경제학 회의입니다. 이 회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eral Reserve) 주최로 열리며, 전 세계 경제학자, 금융 전문가, 중앙은행 총재, 정책 결정자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인물들이 참석합니다. 잭슨홀 미팅은 경제 정책 및 금융 시장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시장 참가자와 정책 결정자들 사이의 소통과 협력을 촉진합니다. 역사 잭슨홀 미팅은 1982년에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매년 8월 말에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주최하고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경제상식 202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