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지표 22

CCI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조지표 중 CCI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CI란 CCI는 Donald Lambert에 고안된 것으로 현재의 가격이 이동평균 주가의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살핌으로써 주가의 방향성과 탄력성을 동시에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CCI의 값이 높게 나올경우 현재 주가수준이 주가평균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값이 낮으면 현재 주가 수준이 주가 평균에 비교하여 현저히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CCI는 당일 평균주가와 이동평균 주가와의 차이를 기초로 산출한 가격지표로써 당일의 주가를 이동평균 주가로 나눈이격도와 그 개념이 유사합니다. 당일의 주가를 고가, 저가, 종가로 구분해이 세 가격의 단순 평균을 구하고 이 단순 평균 가격을 당일의 평균 주가로 결정하는 것입니다. 이..

기술적지표 2023.08.03

하모닉패턴(Harmonice Pattern)

안녕하세요 오늘은 하모닉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모닉패턴(Harmonice Pattern) 해당 패턴은 H,M. Gartley(가틀리)에 의해서 1932년에 만들어졌습니다. 가틀리는 그의 책에 '가틀리 패턴'으로 알려진 5- 포인트 패턴에 대해서 소개해왔습니다. Larry Pesavento가 피보나치 비율을 더하여 이를 개선했으며 Scott Carnet가 가틀리 패턴 외에 Crab, Bat, Shark, 5-0 등의 패턴을 발명하였습니다. 하모닉 패턴의 전반적인 시장과 모든 시간대의 차트에서 잘 들어맞는 편이기도 합니다. 하모닉 패턴의 주요 골자는 스윙 하이, 스윙 로우와 PRZ(Potential Reversal Zone)를 특정하여 그 이후의 가격 변동을 예상하는 것입니다. ​ 간단히..

기술적지표 2023.08.01

MACD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동평균선의 수렴, 확산을 나타내는 지수인 MACD 보조지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MACD란 우선 MACD의 약자인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약자로 우리말로 풀이하면 이동평균선수렴, 확산 지수의 약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1970년대 제럴드 아펠(Gerald Appel)이 창안해낸 주가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지표이며 주가 추세의 강도, 방향 모멘텀 및 지속 시간의 변화를 나타내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즉 기간이 다른 이동평균선 사이의 관계에서 추세변화의 신호를 찾으려는 진동자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은 지수의 단기변동 때문에 나타난 불규칙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만드는데 MACD지표는 이러한 이동평균선을 이용해 매매신호를..

기술적지표 2023.07.31

A/D Line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조지표 중 A/D Lin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AD(Accumlation, 매집 / Distribution, 분산) A/D Line은 가격과 거래량의 변화를 포함한 모멘텀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가격 움직임에 동반되는 거래량이 많을수록 가격의 움직이 더 커진다는 전제에 근거하고 있으며 Accumlation/ Distribution은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가감된 거래량을 누적하여 계산되는 지표로서 마크 체이킨(Mark Chaikin)이 고안하여 만든 개발 보조지표입니다. ​ OBV와 마찬가지로 가격이 상승하기 전에 거래량이 먼저 상승하는 경우를 쉽게 차트상에서 흔하게 발견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거래량의 상승없이 전개되는 가격의 상승은 오래 이어지지 못하며 거래량의 ..

기술적지표 2023.07.27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해외선물 기술적지표 중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 먼저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혹은 이평선이라고 말하는 이 지표는 기술적분석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지표이며 또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이동평균선에 대해서만 명확하게 이해한다면 여러분들은 투자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기술적 지표를 믿고 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항상 이를 차트와 함께 켜놓고 참고합니다. 물론 저또한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이동평균선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 이동평균선의 계산법과 숨은 의미 과거의 특정적인 시간안에 시장가격 평균을 이동평균이라하고 이를 모든 시간에 대해 연결하는 것을 이동평균선이라 합니다. 사실 수학이나 해석적 논리에 ..

기술적지표 2023.07.21

엘리어트 파동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엘리어트 파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코로나 이후 너도나도 투자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서 재테크로 해외선물과 주식 등 투자 열풍으로 붐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 아마 투자공부를 열심히 하다보면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해서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거라 생각이 되는데요 엘리엇 파동이론은 주가 흐름을 분석한 결과 그 움직에서 일정한 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고 이것은 5개의 상승파동과 3개의 하락파동을 구성하였습니다.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요소로는 상승 2파는 상승 1파의 38.2% 또는 조정이 나타난다는 것과 가장 길고 강한 파동은 상승 3번 파동으로 1번 파동의 1.618배정도 상승한다는 내용입니다. ​ 사실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실 수 있습니다...

기술적지표 2023.07.20

RSI (상대강도지수)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RS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대강도지수 RSI(Relative Strength Index) 란 무엇인가? RSI는 가격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1978년 미국의 윌레스 와일더(J.Welles Wilder Jr.)가 개발했습니다. 이는 RSI는 주식과 선물·옵션 등의 미래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기술적분석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일정 기간 동안 주가가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변화량과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해 상승한 변화량이 크면과매수 상태로, 하락한 변화량이 크면 과대도 상태로 판단합니다. ​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정기간 (주로 14일, 9일, 25일 등도 사용)의 모든 날의 주가에 대해 가격이 전일 대비 상승한 날의 상..

기술적지표 2023.07.19

피보나치(Fibonacci) 수열

안녕하세요 오늘은 피보나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보나치(Fibonacci)란? 피보나치는 약 800년 전의 이탈리아 수학자로 이름은 레오나르도입니다.(Leonardo Fibonacci).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레오나르도 다빈치하고 이름이 같습니다. 연기력의 천재는 디카프리오고, 다방면의 천재로는 당연히 다빈치이고, 수학방면에는 피보나치입니다. 피보나치는 이탈리아의 수학자로 중세유럽에 아리비아 숫자체계를 소개했으며 고대 피라미드를 연구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부르는 숫자들의 배열을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피보나치 수열의 원리 피보나치 수는 1, 1, 2, 3, 5, 8, 13, 21, 34, 89, 144, 233, 377, 610, 987 … 로 끝없이 쭉 이어지는데 앞의 두 ..

기술적지표 2023.07.18

헤드 앤 숄더

안녕하세요 오늘은 헤드앤숄더 차트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도 헤드앤숄더라고 생각된다면 샴푸이름이 생각이 날 수도 있겠네요. 과거 엘리어트 파동 이론과도 어느정도 겹치는 부분이 많은 이야기로 들릴수도 있지만 엄연히 다르기에 헤드엔 숄더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차트패턴 chart pattern 차트의 패턴이란 ? 세련이 특정 종목을 통해 작업을 이루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형태로써, 대표적인 패턴들이 존재하고 이러한 패턴에는 세력의 움직임과 투자자들의 심리가 녹아들어 있습니다. ​헤드 앤 숄더 head & shoulders 헤드 앤 숄더(head and shoulders)는 세 개의 봉우리로 구성되는 하락세 전환 패턴을 말합니다. 숄도 부분의 양 사이드 봉우리는 대게 비슷한 ..

기술적지표 2023.07.17

엘리어트 파동 이론

안녕하세요 오늘은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국내 시장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게 되면서 너도나도 투자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재테크로 해외선물과 주식 등 투자 열풍으로 붐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 아마 투자공부를 열심히 하다보면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해서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거라 생각이 되는데요 엘리엇 파동이론은 주가 흐름을 분석한 결과 그 움직에서 일정한 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고 이것은 5개의 상승파동과 3개의 하락파동을 구성하였습니다.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요소로는 상승 2파는 상승 1파의 38.2% 또는 조정이 나타난다는 것과 가장 길고 강한 파동은 상승 3번 파동으로 1번 파동의 1.618배정도 상승한다는 내용입니다. ​ 사실 이해하기 어려..

기술적지표 2023.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