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지표 31

피보나치(Fibonacci) 수열

안녕하세요 오늘은 피보나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보나치(Fibonacci)란? 피보나치는 약 800년 전의 이탈리아 수학자로 이름은 레오나르도입니다.(Leonardo Fibonacci).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레오나르도 다빈치하고 이름이 같습니다. 연기력의 천재는 디카프리오고, 다방면의 천재로는 당연히 다빈치이고, 수학방면에는 피보나치입니다. 피보나치는 이탈리아의 수학자로 중세유럽에 아리비아 숫자체계를 소개했으며 고대 피라미드를 연구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부르는 숫자들의 배열을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피보나치 수열의 원리 피보나치 수는 1, 1, 2, 3, 5, 8, 13, 21, 34, 89, 144, 233, 377, 610, 987 … 로 끝없이 쭉 이어지는데 앞의 두 ..

기술적지표 2023.07.18

헤드 앤 숄더

안녕하세요 오늘은 헤드앤숄더 차트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도 헤드앤숄더라고 생각된다면 샴푸이름이 생각이 날 수도 있겠네요. 과거 엘리어트 파동 이론과도 어느정도 겹치는 부분이 많은 이야기로 들릴수도 있지만 엄연히 다르기에 헤드엔 숄더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차트패턴 chart pattern 차트의 패턴이란 ? 세련이 특정 종목을 통해 작업을 이루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형태로써, 대표적인 패턴들이 존재하고 이러한 패턴에는 세력의 움직임과 투자자들의 심리가 녹아들어 있습니다. ​헤드 앤 숄더 head & shoulders 헤드 앤 숄더(head and shoulders)는 세 개의 봉우리로 구성되는 하락세 전환 패턴을 말합니다. 숄도 부분의 양 사이드 봉우리는 대게 비슷한 ..

기술적지표 2023.07.17

엘리어트 파동 이론

안녕하세요 오늘은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국내 시장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게 되면서 너도나도 투자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재테크로 해외선물과 주식 등 투자 열풍으로 붐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 아마 투자공부를 열심히 하다보면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해서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거라 생각이 되는데요 엘리엇 파동이론은 주가 흐름을 분석한 결과 그 움직에서 일정한 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고 이것은 5개의 상승파동과 3개의 하락파동을 구성하였습니다.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요소로는 상승 2파는 상승 1파의 38.2% 또는 조정이 나타난다는 것과 가장 길고 강한 파동은 상승 3번 파동으로 1번 파동의 1.618배정도 상승한다는 내용입니다. ​ 사실 이해하기 어려..

기술적지표 2023.07.14

볼린저 밴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볼린저밴드에 대하여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가끔은 이런 경우가 있지요. 내가 사면 떨어지고, 팔고 나면 오르는...아주 배가 아픈 상황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그것은 바로 매매의 타이밍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였기 때문이라는데요. 이러한 매매타이밍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볼린저밴드라는 지표라고 합니다. ​ 일단 가장 기본적인 네이버지식백과에서의 볼린저밴드란 무엇인가? 를 알아보았습니다. ​ 볼린저밴드란 무엇인가? ​ 쉽게 말하여 주가의 변동에 따라 상하밴드의 폭이 같이 움직이게 하여 주가의 움직임을 밴드 내에서 판단하고자 만들어진 주가지표를 말합니다. 자세하게 들어가보면 주가의 변동에 따라 상하밴드의 폭이 같이 움직이게하여 주가의 움직임을 밴드 내에서 판단하고자 고안된..

기술적지표 2023.07.13

모멘텀(Momentum)지표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모멘텀(Momentum)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멘텀(Momentum)지표란? 모멘텀 지표는 주식 시장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도구 중 하나로 주식 가격의 추세 및 상승과 하락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모멘텀'은 물리학 용어로 물체가 운동하는 데 필요한 운동량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을 주식 시장에 적용하면 주식 가격의 운동량이 상승할 때는 상승 추세가 강화되고 하락할 때는 하락 추세가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멘텀 지표는 과거 주식 가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되며 주식 가격의 상승과 하락의 속도와 크기를 측정하여 추세의 강도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주식 가격의 흐름과 트렌드를 이해하고 상승 또는 하락 추세의 지속 여부를 예측하는 데 도..

기술적지표 2023.05.16

아담과 이브 패턴(Adam and Eve Pattern)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아담과 이브 패턴(Adam and Eve Patter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담과 이브 패턴(Adam and Eve Pattern)이란? 아담과 이브 패턴은 주식의 기술적 분석 중 하나로 차트 분석을 통해 주가의 방향성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아담과 이브 패턴은 상승 추세에서 형성되는 이중 산봉우리와 하락 추세에서 형성되는 이중 골짜기로 구성됩니다. 즉, 아담과 이브는 하나의 패턴으로서 각각 아담 탑(Adam Top)과 이브 바텀(Eve Bottom)의 두 가지 패턴을 포함합니다. 아담 탑은 상승 추세에서 최고점을 나타내며 이브 바텀은 하락 추세에서 최저점을 나타냅니다. 아담과 이브 패턴은 상승 추세에서 처음으로 형성되는 고점인 아담 탑이 하락 추세에서 형성되는 저점..

기술적지표 2023.05.11

CCI(Commodity Channel Index) 지표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보조지표 CCI (Commodity Channel Inde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CI (Commodity Channel Index)란? CCI는 도널드 램버트(Donald Lambert)가 개발한 보조지표 중 하나로 주가의 추세 변화와 주가의 과매수,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CCI는 주로 주식, 선물, 환율 등의 시장에서 사용되며 짧은 기간에 주가가 급격하게 오르거나 내릴 때 경고 신호로 사용됩니다. CCI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일정 기간의 평균 주가를 구합니다. 2. 주가의 편차를 계산합니다. 3. 평균 주가에서 편차를 뺀 값을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 절대 편차로 나눠줍니다. 4. 계산된 값에 0.015를 곱하면 CCI값을 얻습니다..

기술적지표 2023.05.10

DMI(방향운동지수)와 ADX(평균방향지수)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DMI(방향운동지수)와 ADX(평균방향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MI(방향운동지수)란? DMI는 추세 추종 지표 중 하나로 추세의 방향과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DMI는 +DI(상승 추세 지표)와 -DI(하락 추세 지표) 두 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DI는 상숭 추세일 때 가격 움직임을 -DI는 하락 추세일 때의 가격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이 두 지표는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움직임에서 일어난 가격 변화를 계산하여 나타내며 이를 이용해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DI와 -D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DI = (현재고가 - 전고가) / 전일의 TR * 100 -DI = (전일의 저가 - 현재저가) / 전일의 TR * 100 여기서 TR은 ..

기술적지표 2023.05.09

지지선(Support Line)과 저항선(Resistance Line)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지지선(Support Line)과 저항선(Resistance Lin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은 기술적 분석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해당 상품이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가격이 멈출 가능성이 있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이는 트레이더들이 매매전략을 수립할 때 참고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지지선(Support Line) 지지선은 해당 상품이 가격이 하락할 때 멈출 가능성이 있는 가격대를 말하며 이전의 저점이나 시장 참가자들이 매수로 돌아오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상품이 하락하는 추세에서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지점으로 해당 가격에 도달하면 매수 신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지선은 차트 상의 이전 저점을 기준으로 그려집니다. 차트상의 이전 저점들 ..

기술적지표 2023.05.03

엘리어트 파동(Elliott Wave)이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엘리어트 파동(Elliott Wav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엘리어트 파동(Elliott Wave)이란? 엘리어트 파동은 주식, 채권, 외환, 등의 금융 시장에서 일어나는 가격 변동을 분석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론적으로는 모든 종류의 시장에서 적용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의 적용 사례가 주식 시장에서 이루어집니다. 엘리어트 파동은 미국의 랄프 넬슨 엘리어트(Ralph Nelson Elliott)가 1930년대에 개발한 것으로 시장의 가격 움직임이 일정한 패턴을 따른다는 가설에 기초합니다. 시장의 가격 움직임을 5파동과 3파동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5파동 이론은 시장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추세에서 발생하는 가격 움직임을 5개의 파동으로 분석합니다. 5파..

기술적지표 202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