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실장입니다.
오늘 하루도 즐거운 시간 보내시고 늘 성공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제로섬 게임
보통 제로섬게임이란 일대일로 싸워서 누구는 이기게 되고, 누구는 지는 것을 말합니다. 프로스포츠나 체스, 장기, 바둑 같은 게임들은 모두 제로섬 게임. 누군가의 1승은 누군가의 1패라 할 수 있습니다. 승 패가 아닌 골득실 등을 따질 때도 자신의 1득점은 상대방의 1실점을 의미하므로 제로섬 게임이 됩니다.
금융 시장이 제로섬게임이냐, 아니냐를 가지고 경제학적으로 많은 논쟁이 있습니다.
금융파생상품, 특히 선물시장의 경우 제로섬 게임이라는 인식이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강한 편입니다.
- 영합(零合) 게임이라 불림
- 게임이론과 경제이론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
- 반대말은 비제로섬게임, 비영합게임 Non-zerosum game
- 누가 얻는 만큼 반드시 누가 잃는 게임
- 모든 이득은 다른 참가자에게서 얻게 됨
- 게임에 참가한 모든 참가자들의 스코어를 전부 합산하면 반드시 제로(0)가 되는 게임

L.C 더로의 '제로섬 사회'가 1971년에 발간되면서 유명해진 용어입니다.
승자의 득점은 곧 패자의 실점으로 직결되기에 치열한 경쟁이 야기됩니다. 반대로, 한 쪽의 득점이 많아도 다른 쪽에선 별로 손해가 없는 관계이거나 그 반대의 관계라면 '논제로섬 게임(Non zero-sum game; 비영합게임)'이라고 합니다.
3인이나 다인 일때도 제로섬 게임은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도박은 제로섬 게임으로 여기긴 하지만, 대부분의 도박은 카지노 등 주최즉에서 가져가는 커미션이 있어 때문에 마이너스 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주로 경제학의 무역수지에 대해 설명할 때 자주 언급됩니다. 중상주의적 관점에서 무역이란 제로섬게임이기 때문에 수출을 늘리고 수입을 줄여야하지만, 애덤 스미스의 자본주의적 관점에서는 부의 총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포지티브섬(positive-sum)이 되며 자유무역은 전세계의 부를 증가시킵니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논란은 학계·정계를 걸쳐서 많은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양상은 경제학계에선 대체적으로 자유무역을 선호하고 그외의 정계나 사회과학계에선 자유무역의 폐해를 논하며 보호무역과 자유무역간의 정책갈등이 생기는 것입니다.
치킨게임
Game of Chicken, Snowdrift game
Chicken race가 일상에서 가장 잘쓰입니다.

여기서 치킨은 겁쟁이의 속어이므로 겁쟁이 게임으로도 쓰입니다. 보통은 하이리스크 로우리턴, 돌아오는 것에 비해 너무 리스크가 큰 무모한 게임입니다.
한적한 도로에서 2명이 서로를 향해 차를 몰고 직진을 합니다. 둘 모두 직진을 하면 둘 모두 큰 부상을 입습니다. 한 쪽만 피한다면 피한 쪽은 겁쟁이라는 오명을 쓰고 안 피한 쪽은 용기있는 자로 불립니다. 둘 모두 피한다면 둘 다 겁쟁이라는 오명을 씁니다.
1950년대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놀이에서 유래 했습니다. 두 명의 운전자가 서로 정면 충돌을 하는 코스로 질주를 하여 먼저 피하는 쪽이 지는 게임으로 이때 먼저 회피한 사람을 치킨(겁쟁이)이라고 불렸습니다.
영리를 추구해야 하는 기업끼리 얼마를 손해 보던 경쟁사를 이길 수만 있다면 무작정 달려드는 비상식적인 출혈경재을 펼치 때가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치킨게임은 승자가 시장 독점적 지위를 차지할 수 있을 때 거는 것이 역사의 진리입니다.
2008년 삼성전자가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일어났던 치킨게임인데, 당시 도시바, 엘피다처럼 파이를 나눠먹던 군소 업체들을 철저히 밟기 위한 치킨 게임이였습니다. 삼성전자가 2008년 승리 할 수 있었던 비결은 낮은 원가, 풍부한 자금력, 강력한 의지의 3박자를 모두 갖추었기 때문이라 합니다.
죄수의 딜레마
prisoner's dilemma

영어를 그대로 직역했기에 죄수의 딜레마란 표현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그 외로 수인의 딜레마, 용의자의 딜레마, 용의자의 고민이라고도 합니다.)
게임 이론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입니다. 두 명의 참여자가 2개의 선택권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2 X 2 게임입니다.
죄수의 딜레마란 두 사람의 협력적인 선택이 두 사람 모두에게 최선의 선택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고려한 선택으로 인해,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도 나쁜 결과를 야기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미시경제학에서 시작됐지만 비단 경제학뿐만 아니라 정치학, 경영학, 행정학(정책학), 생물학, 생태학, 심리학 등 문과와 이과 어느 쪽에서나 설명력을 갖고 있습니다.
상대 정당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점에서 정치학, 특히 국제관계상의 문제를 다루는 국제정치학에서도 등장합니다. 냉전 당시 군비 경쟁을 이 모형으로 설명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집단행동문제(Collective Action Problem)의 대표적 예로, 개인의 (이성적) 최선행동(Personal best choice)의 합이 사회적 최선(Social best choice)과 불일치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최선을 위한 개인의 양보를 이끌어내기 위해 사회는 어떻게 개인을 유도해야하는가에 관해 많은 점을 시사합니다.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커플링(Decoupling) (0) | 2023.03.01 |
---|---|
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0) | 2023.02.28 |
옵션 정의 (0) | 2023.02.24 |
블랙먼데이 (1) | 2023.02.23 |
환율이란?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