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

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해외선물 전문 정실장 2023. 2. 28. 10:24

안녕하세요 해외선물 정실장입니다

오늘 하루도 즐거운 하루 보내시고 늘 성공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전세계가 주목하는 미국의 금리를 결정하는 주체인 FOMC 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우리가 FOMC를 알아야 할까요?

FOMC는 기축통화인 달러의 통화량을 조절하는 유일한 기관이므로 FOMC는 세계적으로 그 어떤 기관들보다 가장 힘이 쌘 경제기관이라고 할 수 있기 떄문입니다. 달러의 가치는 골드, 유로. 엔화 등과 많은 연관성과 관계가 깊습니다.

이 말은 즉, 우리가 해외선물에 매매를 함에 있어서 FOMC의 결정에 따라 그날의 변동성을 예측해볼 수 있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보편적인 상황으로 예측을 하고 그에 따른 대응을 한다면 수익의 확률점이 높겠지만, 시장에는 항상 변수들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금리가 인하 됐다"라는 정보성만 가지고 단편적으로 판단을 하시면 안됩니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점은 FOMC의 금리결정은 세계시장으로서의 큰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부합할 수 있습니다.

투자상품에는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이 있습니다.

 

안전자산이란 위험이 적은 금융자산으로서 무위험 자산이라고도 하며, 금, 엔화, 미국국채, 달러 등이 있습니다.

위험자산이란 투자수익률이 사전에 불확정한 투자자산을 말하며 해외선물, 주식, FX, 코인 등이 있습니다.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달러와 금, 이 두가지는 서로간의 상반되는 상호관계를 작용하고 있으며 디커플링 관계 속해있습니다.

보편적인 상황에서 예를 들자면 금리의 인상은 달러의 상승을 예상이 가능하다는 것이죠.

금리를 올린다는 것은 시장에 풀려있는 달러를 회수하게 되면서 더 이상 풀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그 말은 즉 달러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하며, 디커플링 관계에 속한 '금'은 하락할 것이란 예측이 가능해집니다.

예측을 하지 않게되더라도, 변동성이 매우 심하기 때문에 큰 흐름을 바꿔놓을 수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거래를 하게 될 때에는 금리의 관련된 뉴스를 파악하고 큰 흐름을 파악하면 투자공부에 좋은 성과를 얻어가실 수 있을겁니다.

자, 다시 초심으로

FOMC란 무엇일까요?

FOMC란 금리의 기준을 결정하는 주체이며 예를 들면 우리나라의 한국은행 안에 있는 금융통화위원회라고 볼 수 있습니다.

FOMC는 Fed의 산하기관이며 FOMC를 알기 위해선 먼저 Fed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Fed

Fed(Federal Reserve Board)의 준말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통화정책기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결정을 통해 세계 곳곳으로 영향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가장 우수한 두뇌집단이며, Fed에서 일하고 있는 경제학박사 수준만 300명 이상으로 미국 기관 중 가장 많으며 비상한 두뇌를 활용하여 통화정책을 구사하고 금융위기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역임하고 있습니다.

Fed는 1914년 출범이후 100여 년 역사 중 성공과 실패를 반복 중에 있으며 Fed가 그럼에도 영향력을 유지한 이유는 달러통화량을 조절하는 유일한 기관이기 때문이라 할 수있습니다.

Fed, 즉 미국의 중앙은행은 우리말로 연방준비제도라는 뜻에 있으며, 즉 우리나라의 한국은행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며 Fed 또는 연준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이 단 하나밖에 없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국에는 12개의 연방준비은행이 있습니다. 연방준비제도는 이를 운영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구라 할 수 있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통화정책을 결정짓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시 FOMC로 돌아와보면

연준의 산하기관인 FOMC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미국 땅에 돌아다니는 달러의 양을 조절하는 곳입니다.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돈을 조절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금융시장에서 채권을 사고 팔아서 시중에 돌아다니고 있는 통화량을 조절합니다. 예를 들면 지금 현재의 연방기금리가 5%인데 미국의 경제상황을 고려해봤을 때 가장 적절한 연방기금금리가 1%라고 하면, FOMC는 금융시장에 있는 채권들을 열심히 사들입니다.

이렇게 FOMC가 채권을 사들이면 그만큼의 돈이 시중에 풀려나가게 되고, 그 결과 돈을 구하기가 쉬워져 연방기금금리가 5%에서 1%로 하락을 하게되는 셈입니다.

FOMC의 투표권은 총 12장으로 12장 중 가장 많은 투표권을 가진 것은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입니다. 7명의 이사가 각각 1장씩, 총 7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7장을 뺀 나머지 5장은 미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12개의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돌아가면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매번 회의에서 투표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세계 금융의 중심지가 뉴욕이고, 실제로 공개된 새정책을 시행하는 곳도 뉴욕 연방준비은행인 만큼 특권을 내주고 있습니다.

이들의 결정은 표결권을 갖는 위원들의 성향과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해 통화긴축을 선호하는 매파'와 경기 둔화 위험을 경계하며 통화완화를 선호하는 '비둘기파'가 나누어져 논쟁을 설치기도 합니다. 이 경제적 성향은 고정적인 성향이 아닌 시간에 따라 변할 수도 있습니다.

현 의장직을 맡고 있는 제롬파월

FOMC의 의장은 미국의 대통령이 지명할 수 있으며, 4년간의 임기 동안 의장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연준의장은 '세계 경제 대통령'이라고 불릴정도로 그 영향력 또한 막강한 힘을 가졌습니다.

그 정도로 경기에 대한 판단, 향후 금리정책에 대한 전망 등 발언을 할때마다 자산시장은 크게 출렁이고 있습니다.

현 의장인 제롬 파월은시작은 비둘기파 그 이후 매파의 성향을 보여주다 다시또 비둘기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FOMC는 1년에 8번의 정기회의를 열고 있으며 3, 6, 9, 12월에는 금리결정을 하는 등 중요한 정책들이 결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꼭 FOMC일정을 체크하여 관심을 갖고 대응을 하는 것이 해외선물 매매에 있어서 바람직합니다.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롱쇼트(Long Short)  (0) 2023.03.02
디커플링(Decoupling)  (0) 2023.03.01
제로섬게임(zerosum game), 치킨게임(chicken game),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1) 2023.02.27
옵션 정의  (0) 2023.02.24
블랙먼데이  (1) 202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