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

게임 이론(game theory)에 대해 알아보기

해외선물 전문 정실장 2024. 6. 14. 12:56

안녕하세요

오늘은 게임 이론(game theor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게임 이론(game theory)

게임 이론은 경제학과 수학의 접합점에 위치한 학문 분야로서

경제 주체 간의 상호작용과

전략적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경제 주체들이 상호작용에서 최적의 선택을 하기 위해

상대방의 행동을 예측하고 반응하는 방식을 연구합니다.

이를 위해 수학적인 도구와 모델링을 사용하여

게임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개발합니다.

게임 이론은 경제학뿐만 아니라 정치학, 사회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용되며 다양한 현실적인 상황과

의사결정 과정을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경제 주체들의 행동과 선택,

그리고 이를 통한 시장 현상과 사회적 결과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게임 이론의 다양한 개념과 원리

게임: 게임 이론은 경제 상황을 게임으로 모델링합니다.

게임은 플레이어들이 상호작용하며

행동을 선택하는 환경을 의미하며

이 게임은 플레이어들 간의 상호의존성과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플레이어

게임 이론에서 플레이어는 의사결정을 내리고

행동을 선택하는 경제 주체를 나타냅니다.

플레이어는 개인이 될 수도 있고

기업, 국가, 혹은 그룹 등 다양한 형태의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전략

게임 이론은 전략적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플레이어는 상황과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는 전략을 개발하며

전략은 플레이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 계획을 의미합니다.

이득 함수

이득 함수는 플레이어의 목적을 수학적으로 표현한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플레이어의 행동에 따른

결과와 보상을 정량화하여 표현합니다.

플레이어는 이득 함수를 최대화하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균형

게임 이론에서 균형은 플레이어들이 전략을 선택하고

상호작용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가장 잘 알려진 균형 개념은 나쉬 균형으로

모든 플레이어들이 서로의 전략을 알고 있으며

더 이상 이득을 취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주요한 게임 형태와 개념

제로섬 게임

제로섬 게임은 한 플레이어의 이득이

다른 플레이어의 손실과 정확히 대칭되는 게임입니다.

이는 자원 분배, 경쟁, 협상 등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완전정보 게임과 불완전정보 게임

완전정보 게임은 모든 플레이어가 게임의 규칙, 상태, 플레이어들의 전략을

완벽하게 알고 있는 게임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게임은 불완전정보 게임으로

플레이어들이 상황과 다른 플레이어의 정보를 완전히 알지 못합니다.

반복 게임

반복 게임은 동일한 플레이어들 간에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게임입니다.

이는 플레이어들이 상대방의 이전 행동과

협력 또는 보복을 고려하여 전략을 선택하게 합니다.

집단 게임

집단 게임은 다수의 플레이어들이 참여하여

협력 또는 경쟁하는 게임입니다.

이 게임에서는 플레이어들의 행동이 집단의

합리적 선택과 상호작용으로 결정됩니다.

게임 이론은 다양한 경제 현상과 상황을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경제 주체 간의 경쟁, 가격 결정, 시장 진입 전략, 경매 등의

다양한 경제 문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적의 전략과 균형을 찾을 수 있습니다.

게임 이론은 경제학뿐만 아니라

정치학, 사회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상호작용, 리더십, 협력과 충돌 등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