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프콘의 개념과 단계별 특징
안녕하세요 정실장입니다.
오늘은 데프콘 단계별 특징과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데프콘이란?
데프콘은 영어로 Defense Readiness Condition/DEFCON의
줄임말로써 방어준비태세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데프콘은 위성이나 정찰기, 전자전기 등으로 수집된 정보를
밑바탕으로 적용이 되는 워치콘(Watch Condition) 상태를
참고해 전군에 발령되는 것입니다.
데프콘과 워치콘 같은 훈련용어들은 모두
미 서부 개척시절에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교전에서 처음 쓰이던 용어라고 합니다.
데프콘에는 총 5단계가 있습니다

데프콘 5단계
데프콘 5단계는 훈련용어로 Fade out(장막이 거두어지다)입니다.
이 단계는 적의 위협이 없는 안전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참고로 한반도 등의 분쟁지역은 5단계일 수가 없습니다.
이에 따라 남북한이 통일이 되지 않는 이상 우리나라가 데프콘 5단계일 가능성은 없다고 합니다.

데프콘 4단계
데프콘 4단계는 훈련용어로 Double Take(대비)를 의미합니다.
이 단계는 적과 대치하고 있으나 전쟁발발 가능성이 낮을 때,
즉 분쟁지역에서의 평시상태믈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6.25 한국전쟁 이후 데프콘 4를 유지해오고 있습니다.

데프콘 3단계
데프콘 3단계는 훈련용어로 Round House(천막을 돈다)이며
이 단계는 준전시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이 데프콘 3단계는 적의 침입이 우려되는 상황에 발령됩니다.
한국은 이 단계에서부터 한미연합군사령부에 작전권이 이양되고,
전군의 휴가가 금지됩니다.
또한 영내 모든 물자를 적재하고 파기할 것으로 따로 분류하며
당장이라도 막사 뺄 준비를 하고서 대기하게 되어 있다고 합니다.

데프콘 2단계
데프콘 2단계는 훈련용어로는 Fast Pace(천막을 도는 속력을 높이다)입니다.
이 단계는 전쟁 준비의 가속화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적의 공격 준비 태세가 강화되고 전쟁의 징후가 포착될 때
발령되는 것이 데프콘 2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데프콘 2단계는 전쟁준비완료 단계에 해당되며
동원지정된 예비군을 소집, 부대 편제인원이 100%로 충원되고
전군에 탄약이 지급됩니다.
데프콘 3단계에서 '언제라도 막사를 뺄 수 있도록 대기한다'라고 했는데
여기서 막사를 빼고 작계진지로 이동하는 것이 2단계입니다.

데프콘 1단계
데프콘 1단계는 훈련용어로는 Cocked Pistol(장전된 권총)로,
전시상태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