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급준비제도(reserve requirement system)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급준비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거 금이 화폐로 사용되던 시절, 사람들은 자신의 금을 금세공업자에게 보관을 하곤 했었습니다. 금세공업자는 금을 보관하는 대신 보관료를 받았습니다.
금세공업자는 금을 맡긴 사람들에게 확인을 위해 보관증을 내 주었고, 금이 필요할때는 언제든지 보관증을 가져다주면 다시 금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후 사람들은 무거운 금 대신, 쉽게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보관증을 이용하여 거래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보관증을 들고 금세공업자에게 가면 언제든 보관증에 적힌 금의 양대로 교환을 할 수 있었으니 훨씬 편리하였던거죠.
시중에 보관증이 돌아다니자 실제 금을 찾으러 오는 사람들은 고작 10% 정도 뿐이였는데, 금을 금고에만 묵혀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 금세공업자는 나머지 고객의 금을 필요한 사람드레게 이자를 받고 빌려주기도 하였습니다.
이로인해 대출이자가 발생하게 되고, 엄청난 수익을 거둬들였죠.
이 10%가 현대 금융기관에서 사용하는 지급준비금의 시초라 할 수 있습니다.
지급준비금이란 은행이 돈을 내줄 것을 대비하여 남겨둬야 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그리고 얼마를 남겨둘지를 나태내는 수치를 지급준비율(Reserve Ratio)라고 부릅니다. 지급준비율은 각 나라의 중앙은행에서 결정을 하는데요. 한국의 지급준비율은 0~7%정도 됩니다.
시중은행은 지급준비금을 준비은행에 예치하도록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급준비율이 10%인 경우, 시중은행에 사람들이 맡겨놓은 돈이 100만원이라면 10원을 지급준비금으로 중앙은행에 예금해놓아야합니다.
지급준비제도는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주요 방법 중 하나로 볼 수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급준비율이 올라가면 시중은행은 예치해야 할 돈이 늘어나고, 빌려줄 수 있는 돈은 줄어들므로 사람들이 소비를 줄일 것이라 기대할 수 있을 것 입니다. 반대로 지금 준비율을 내리면 은행이 빌려줄 수 있는 돈이 늘어나게 되므로, 소비가 촉진되어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